3년간 6억 7천만 원 지원…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기술로 뇌경색 치료 도전
기존 약물·수술 한계 넘는다…광학 기술로 뇌혈관협착증 개선 목표
계명대 동산병원 신경외과 김창현 교수, 계명대 의용공학과 이종하 교수
계명대 동산병원 바이오브레인 엔지니어링 연구팀(신경외과 김창현 교수, 계명대 의용공학과 이종하 교수)이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우수신진연구과제에 선정됐다.
연구팀은 광원 치료법을 활용한 뇌혈관 질환 치료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연구 주제는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기반 뇌혈관협착증에 의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죽상경화판의 퇴행 및 안정화와 뇌경색 조직 재생 촉진'이다.
연구기간은 3년이며 총 6억 7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두개강 내 뇌혈관협착증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발병률이 높은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죽상경화판의 파열로, 이로 인해 급성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 치료법으로 항혈소판제와 항콜레스테롤제 등 약물치료가 사용되지만, 출혈 위험이 존재하며, 심한 협착이 있을 경우 풍선성형술과 스텐트 삽입술이 시행된다.
그러나 혈관 구조에 따라 시술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어 새로운 치료법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마이크로카테터와 두개골 외부를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서 광 자극을 이용해 동맥경화증이 있는 뇌혈관과 뇌경색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죽상경화판의 퇴행 및 안정화를 유도하고, 신경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 치료법보다 부작용이 적고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을 개선할 수 있어 임상 적용 가능성이 크다.
김창현 교수는 “신경외과와 의용공학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광학 기술을 접목해 뇌혈관 질환 환자의 예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계명대 동산병원 바이오브레인 엔지니어링 연구팀은 2020년 개소 이후 전자약과 디지털치료제를 인공지능과 융합한 연구를 선도하며 첨단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이끄는 중이다.